글자
Mugae&Boopy
-
무게와 부피 Mugae and Boopy
<무게와 부피>는 휴머니스트 산세리프 서체(Humanist sans-serif)로 가장 가는 두께의 ‘O’(원점)를 기준으로 x축과 y축이 각각 확장하는 베리어블(Variable font) 타입의 서체이다. 일반적으로 글자는 가로획보다 세로획을 우선하며, 가로획은 세로획에 보조재로 활용된다. 대부분의 기호와 문자가 그러하다. 하지만 한글은 구조적으로 가로와 세로 구조를 따로 구분하지 않는다. 그래서 가로획과 세로획 성질을 동일한 것으로 간주한다.(예 : 으/이, 아/우) <무게와 부피>는 이같 은 한글의 세계관(가로획=세로획)에서 착안된 서체이다. 가로획과 세로획 모두는 독립적이며 어느 한 쪽에 종속되지 않는다. 그래서 서로 개별적으로 확장해나가는 베리어블 타입의 서체이다. 글자는 가로로 확장되는 형태를 ‘무게’(Weight), 세로로 확장되는 형태를 ‘부피’(Volume)로 인식한다. 그리고 무게’(Weight)와 ‘부피’(Volume)는 가장 얇은 두께의 ‘O’(Origin)에 소실점을 두며 볼드(Bold) 정도의 두께 스펙트럼을 가진다. 그래서 서체는 서로 상반된 두 가지 인상(Character)을 가진다. 원점(Origin)을 기준으로 x축과 y축
-
글자의 구조. 기준이 되는 가장 얇은 두께의 ‘O’(Origin)의 기본 가로획과 세로획. ‘O’의 . (기준 가로획>세로획)
‘O’에서 부터 ‘무게’(Weight)와 ‘부피’(Volume)두께 확장.
글자의 구조. 가로모임(O+VR+WR), 세로모임(O+VR+WR), 가로 받친모임(O+WR+WB), 세로 받친모임(O+VR+VB).
휴머니스트 스타일로 완전한 직선 획은 없고, 획의 마감 또한 비침으로 처리되어 있다. Variable Font Scale (Volume Bold<->Weight Bold)
사선의 처리. ‘무게’(Weight)와 ‘부피’(Volume)는 서로 상반되게 처리되어 있다.
사선의 처리. ‘무게’(Weight)와 ‘부피’(Volume)는 서로 상반되게 처리되어 있다.
- Weight B 잉스기를 Volume B 잉스기를
- Weight R Savon?! Volume R Savon?!
- Weight M (7254) Volume M (7254)
- 무게와 부피 Bold
- 무게와 부피 Medium
- 무게와 부피 Regular
- 무게와 부피 Light
- 무게와 부피
- 무게와 부피 Bold
- 무게와 부피 Medium
- 무게와 부피 Regular
- 무게와 부피 Light
- 무게와 부피
- VB
- VR
- O
- WR
- WB
Volume
Weight
-
산돌 구름
-
디자인: 김태헌 Released in 2025 2025 글꼴 포맷 : OTF 메모리 : 메모리 메모리 1GB 이상 (권장) 하드디스크 50MB 글꼴 구성 한글 2,780자 (Hangul Syllables) 라틴 영역 95자 약물 140자 유니코드